반응형
반응형
로그인 Auth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세션을 사용하는 방법. 토큰을 사용하는 방법. 세션과 토큰의 차이는 다음 블로그 글을 참고해주세요. [개발 상식] 쿠키, 세션, 토큰 어떤 차이일까? 이번 글은, 세션과 토큰의 차이점을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세션과 토큰의 차이점을 알고, 적시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가 되어 봅시다! 우선 세션과 토큰을 설명하기 앞서, 쿠키라는 lurgi.tistory.com ❓세션과 토큰의 장단점? 토큰의 강력한 장점은 DBless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션은 세션DB가 따로 필요하거든요. 따라서 사용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세션 구조를 사용하는 서비스는 서버 관리에 비용이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