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로그인 Auth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데요, 세션을 사용하는 방법. 토큰을 사용하는 방법. 세션과 토큰의 차이는 다음 블로그 글을 참고해주세요. [개발 상식] 쿠키, 세션, 토큰 어떤 차이일까? 이번 글은, 세션과 토큰의 차이점을 공부하며 정리한 글입니다. 세션과 토큰의 차이점을 알고, 적시에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래머가 되어 봅시다! 우선 세션과 토큰을 설명하기 앞서, 쿠키라는 lurgi.tistory.com ❓세션과 토큰의 장단점? 토큰의 강력한 장점은 DBless한 구조를 만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세션은 세션DB가 따로 필요하거든요. 따라서 사용자 수가 급증함에 따라 세션 구조를 사용하는 서비스는 서버 관리에 비용이 점차 증가하게 됩니다. 그래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 ..
이전 시간 카카오와 Supabase앱을 만들어 연동하였습니다. ⬇️ 이전 포스팅을 못보셨다면 아래로 이동하여 세팅을 먼저 해주세요! ⬇️ Next.js 환경에서 Supabase를 이용해 간단하게 카카오 로그인 구현하기 (1) 이번 시간에는 Next.js 환경에서 Supabase를 이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해 보려고 합니다! Supabase | The Open Source Firebase Alternative Build production-grade applications with a Postgres database, Authen lurgi.tistory.com 이제 본격적으로 간단한 화면을 구현해 보겠습니다! 우선 Next App을 만들어 줍시다. npx create-next-app@l..
이번 시간에는 Next.js 환경에서 Supabase를 이용하여 아주 간단하게 카카오 로그인을 구현해 보려고 합니다! Supabase | The Open Source Firebase Alternative Build production-grade applications with a Postgres database, Authentication, instant APIs, Realtime, Functions, Storage and Vector embeddings. Start for free. supabase.com Supabase는 구글의 Firebase와 유사한 서비스인데요, 쉽게 생각하면 백엔드 기능을 가지고 있는 서비스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데이터 베이스를 쉽게 다룰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풀스택 개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