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어느덧 우테코 프리코스 1주차가 끝이났습니다. 방금전에 과제 제출을 끝마쳤고, 테스트까지 통과했네요. 뭔가 이렇게 요구사항이 내려오고, 그걸 스스로 해결해 나가는게 정말 재밌네요..! 2주차가 기대됩니다 🤣 1주 밖에 되지 않았는데 벌써 많은 것들을 배운 것 같아요. 특히나 이렇게 느껴지는 이유는 코드를 짜는 태도가 조금 바뀐 것 같아서 더 그런 느낌이 드네요. 혼자서 개발할 때와 확실히 커뮤니티를 통해 많은 분들과 소통하며 공부하는 것에 큰 차이가 있다는 걸 느껴요. 우아한 테크코스 커뮤니티를 통해 많은 분들의 열정 담긴 지식공유를 통해 정말 정말 많이 성장했어요! 지금은 비록 혼자서 공부하는 입장이지만, 나중에 회사에 쥐직하거나, 팀 프로젝트를 만들어 나가는 상황에서 필요한 역량들에 대해 배웠던 것 ..
협력이 필요한 때 현재 저는 10개월차 프론트엔드 공부를 하는 새내기 학생입니다. 그간 독학을 통해서 HTML, CSS, JS, 그리고 Typescript, React, Nextjs등을 공부하고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였고, 이 과정에서 혼자서 다양한 서비스를 만드는데는 한계가 명확함을 느꼈고, “협력”을 해야 되겠단 목표 의식을 갖추게 되었어요. 특히나 소프트웨어 개발에서는 “협력”이 정말 중요하다고 하는데, 그 이유를 이제서야 알기 시작했어요, 큰 서비스를 혼자서 만든다는 것은 절대 불가능한 일이니깐요. 그래서 인프런과 같은 커뮤니티에서 스터디에 참여하기도 했었어요. 그런데 이렇게 무작위적으로 만난 사람들과는 도저히 자기성장을 이끌어 낼 수 없겠더라구요. 그런 사람들은 대부분 취업 준비를 위해 단체 프로젝..
🤔WeakMap..? WeakMap은 Javascript의 객체 타입입니다. Map과의 차이점은 키 값이 강력한 참조(strong reference)를 하지 않고, 약한 참조(weak reference)를 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강력한 참조(strong reference)와 약한 참조(weak reference)는 무엇인가요? 강력한 참조와 약한 참조는 메모리 관리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강력한 참조(strong reference)**는 해당 객체가 메모리에서 제거되지 않도록, 무기한으로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때문에 다른 곳에서 객체를 참조하지 않더라도 가비지 컬렉션의 대상이 되지 못합니다. 반면 **약한 참조(weak reference)**는 객체를 참조하지 않는 경우,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기 ..
이전에 객체지향과 절차지향에 대해서 공부했었는데, 클린 코드(로버트 C 마틴) 책 6장에서 다뤄지는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 다시한번!! 중요한 개념으로 생각되기에! 포스팅 해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Object)와 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론입니다.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절차지향 프로그래밍(PP, Procedural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램을 데이터와 프로시저(Procedure, 함수 또는 서브..
😥발생한 문제? "use client"; import { useEffect } from "react"; const KakaoMap = () => { useEffect(() => { const script = document.createElement("script"); script.type = "text/javascript"; script.src = `//dapi.kakao.com/v2/maps/sdk.js?appkey=${process.env.NEXT_PUBLIC_KAKAO_MAP_API}&autoload=false`; document.body.appendChild(script); script.onload = () => { window.kakao.maps.load(() => { const containe..
웹 사이트를 다국어 페이지로 제공하는 방식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1. 다국어 컨텐츠를 일일이 번역, 제공 각 언어별로 웹 페이지의 컨텐츠를 번역하여 제공하는 방식입니다. 각 페이지마다 해당 언어의 텍스트가 포함되는 방식으로 예를 들면 “kr” 폴더에는 한국어, “en”폴더에는 영어 버전의 웹 페이지 파일이 들어가 있습니다. 하지만 일일이 번역하기 때문에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여러 언어로 된 컨텐츠를 일관성 있게 유지하기가 힘듭니다. 😀2. URL 언어 서브디렉터리 각 언어의 웹 페이지를 서브디렉터리에 저장하는 방식입니다. 각 언어별로 별도의 서브 디렉터리를 생성하고 해당 언어의 컨텐츠를 디렉터리에 배치합니다. 예를 들어“/en/”은 영어, “/kr/”은 한국어 디렉터리에 배치합니다. 이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