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번 스프린트에서 크루루 서비스는 자동 로그인 기능을 구현했습니다. 하지만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았고,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클라이언트 측에서 에러가 던져졌으나, 네트워크 요청은 200 응답을 보이는 이상한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서버와 클라이언트 중 어디서 문제가 발생했는지 알 수 없었기 때문에, 여러 방법을 통해 디버깅을 진행했습니다. APIClient를 직접 점검했지만, 별다른 문제는 보이지 않았고, 심지어 에러를 throw하는 코드 주변에 console.log를 추가해도 아무것도 찍히지 않았습니다. 이처럼 이상한 증상을 기반으로 저는 Tanstack Query의 캐싱 메커니즘이 원인이 아닐까 생각했습니다. Tanstack Query Dev Tool을 활용해 데이터를 확인한..
우선 SWR을 알아보기 앞서 캐시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캐시란 무엇인가 캐시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메모리를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한 번의 요청에 비용이 큰 경우, 여러 번 요청을 하는 것 보다, 한 번의 요청 이후 캐시에 저장하여 재사용 하기 위한 전략입니다. ❓SWR이 무엇인가 SWR은 Stale-While-Revalidate의 약자로 HTTP 캐시 무효 전략을 뜻합니다. SWR은 우선적으로 캐시로 부터 데이터를 반환한 후, fetch 요청(Revalidate)이 필요한지 확인하고 요청을 합니다. 즉 캐시에 있는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면, 굳이 요청을 하지 않는 것이죠. 그리고 반대로 사용자가 원하는 순간에 요청을 보내 새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컴포넌트는 지속적으로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