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전에 객체지향과 절차지향에 대해서 공부했었는데, 클린 코드(로버트 C 마틴) 책 6장에서 다뤄지는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 다시한번!! 중요한 개념으로 생각되기에! 포스팅 해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Object)와 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론입니다.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절차지향 프로그래밍(PP, Procedural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램을 데이터와 프로시저(Procedure, 함수 또는 서브..
자바스크립트를 공부하다 명령적 프로그래밍의 단점에 대해 설명을 듣고, 선언적 프로그래밍의 필요성과 react, vue 등의 라이브러리 등장에 대해서 설명을 들었습니다. 그런데 선언적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명령적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해서 이번 시간에는 이 둘이 무엇인지와 차이점을 알아 보려고 합니다! 🤔선언적 프로그래밍? (Declarative Programming) 선언적 프로그래밍 (Declarative Programming)은 프로그램이 어떻게 동작해야 하는지를 명시하기 보다, 원하는 결과, 달성하기를 원하는 것을 설명하는 프로그래밍 형식입니다. 이를테면, 선언적 프로그래밍에서는 데이터와 데이터 사이의 관계, 규칙, 제약 조건등을 선언하여 문제를 해결하려 합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
티디딕…? TDD…? 처음 들어 봅니다. 그래서 짚고 넘어가려고 합니다! 🤔TDD 가 뭐야? TDD (Test Driven Developmnet)란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의 하나입니다. 소프트 웨어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테스트코드를 작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실제 코드를 작성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TDD의 단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테스트 작성 (TEST) : 구현되지 않은 기능에 대한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합니다. 테스트 실행 및 실패 확인 (RED) : 테스트를 실행하고 실패하는지 확인합니다. 코드작성 (GREEN) : 실제 코드를 작성합니다. 최소한의 코드만으로 작성하여 테스트에 통과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TDD의 장점? 신뢰성 향상 : 익숙하지 않은 기능을 개발할 때 테스트 케이스를 작성함으로 써 버그 발생..
많이 들어본 함수형 프로그래밍. 오늘은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무엇인지 짚고 넘어갑시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이란?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자료 처리를 수학적 함수의 계산으로 취급하고, 상태와 가변 데이터를 멀리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하나입니다.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프로그래머에게 프로그래밍의 관점을 갖게 해주고, 결정하는 역할을 합니다. 구조적 프로그래밍과 비구조적 프로그래밍, 명령형과 선언형, 절차적(PP)과 객체지향(OOP)과 함수형 등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함수형 프로그램의 원리?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선언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따르고 있습니다. 계산 가능성, 결정문제, 함수정의, 함수응용과 재귀를 연구하기 위해 개발된 형식 체계인 람다 대수에 근간을 두고 있습니다. 다수의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람다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