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우아한 테크코스 2주차 입니다. 이번 미션에서는 조합과 상속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중복 코드 발생 class Lotto { constructor(numbers) { if (numbers.some((number) => number > MAX_NUMBER || number < MIN_NUMBER)) { throw new Error("로또 번호는 1~45 사이의 정수여야 합니다."); } if (numbers.length !== 6) { throw new Error("로또 번호는 6개여야 합니다."); } if (numbers.length !== new Set(numbers).size) { throw new Error("로또 번호는 중복되지 않아야 합니다."); } this.#numbers = number..
지난 시간 객체 지향의 핵심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더 나아가 의존성에 대해서 깊게 공부해보고자 합니다! 객체 지향의 핵심에 대해서는 아래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Javascript] 객체 지향 (Object Oriented)의 핵심, JS의 다중 패러다임 저는 요즘 클린 아키텍처(Clean Architecture) 책을 읽고 있어요. 이 책에서는 ‘좋은 아키텍처를 만드는 일은 객체 지향 원칙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라고 말합니다. 왜 그런 것일 lurgi.tistory.com ❓의존성이란? 의존성은 객제 지향에서 한 객체가 다른 객체와의 상호 관계를 나타내는 것입니다. 객체를 분리하고, 의존성을 가지게 됨으로써 복잡한 메서드를 모듈화 하여 빠르게 코드를 이해할 수 있고 재사용성도 높아..
저는 요즘 클린 아키텍처(Clean Architecture) 책을 읽고 있어요. 이 책에서는 ‘좋은 아키텍처를 만드는 일은 객체 지향 원칙을 이해하고, 응용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라고 말합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책에서는 객체 지향을 통해 ‘아키텍트는 플러그인 아키텍처를 구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고수준의 정책을 포함하는 모듈을 저수준의 세부사항을 포함하는 모듈에 대해 독립성을 보장할 수 있다. (중략) 독립적으로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다’ 라고 말해요. 음 도통 무슨말인지 모르겠네요🤣 객체 지향은 쉽게 말하면 '실제 세계를 모델링 함으로써 소프트웨어를 조금 더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패러다임' 이라 말할 수 있겠네요. 그러면 객체 지향의 핵심을 파악하며, 지금까지의 말이 어떤 의미인지 알아가 보도록 ..
이전에 객체지향과 절차지향에 대해서 공부했었는데, 클린 코드(로버트 C 마틴) 책 6장에서 다뤄지는 내용을 충분히 이해하고자 !! 다시한번!! 중요한 개념으로 생각되기에! 포스팅 해봅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Object)와 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론입니다.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절차지향 프로그래밍(PP, Procedural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패러다임 중 하나로, 프로그램을 데이터와 프로시저(Procedure, 함수 또는 서브..
객체지향 프로그래밍과 절차지향 프로그래밍의 차이를 알기위해 먼저 객체지향이 무엇인지, 절차지향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봅시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OP, Object-Oriented Programming)이란? 소프트웨어 개발 패러다임 중 하나로, 객체(Object)와 그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모델링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방법론입니다. 코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현대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들에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특징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는 객체를 만들기 위한 템플릿으로 객체를 정의하는 프로퍼티와 메서드의 집합입니다. 객체는 클래스로 만들어진 인스턴스로 실제 메모리에 할당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습니다. 캡슐화 캡슐화는 클래스의 세부사항을 ..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